詩 : 한상억(韓相億 1915-1992) 강화 출생 曲 : 최영섭(崔永燮 1929- ) 강화 출생 시인 한상억은 1935년 인천공립상업학교를 졸업했다. '평행선의 대결' '창변사유' 같은 시집을 남겼지만 그가 일약 유명해진 것은 '그리운 금강산' 때문이었다.
이 노래는 1961년 한국전쟁 11주년 기념으로 KBS의 청탁을 받아 한상억이 작사했고,
곡은 아련한 그리움과 민족의 비원을 애틋하게 표현했으나
절제를 가진 명곡으로 평가받는다.
이 노래비는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뜰에 서 있다.
경기일보·경기매일신문 논설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작곡가겸 지휘자 최영섭은 중학교 5학년 때 이미 작곡발표회를 가질 정도로 음악적 소질을 보였다.
그는 서울대학교 작곡과에 입학하여 김성태 교수에게 배웠으나 6ㆍ25 전쟁 중에서 졸업하지 못하고 대학 4년을 수료하였다. 그 후 비인 국립음대로 유학하여 칼 베스터라이히(Karl Westereich) 교수에게 지휘법을 배웠다. 한때 대학에서 강사를 지냈으며 다섯회의 작곡발표회와 여러장의 독집음반을 내는 등 활발한 작곡활동을 펼쳐왔고, 서울그린오케스트라 지휘자를 역임하는 등 지휘자로서도 활동하였다. 대표가곡으로는 칸타타 '아름다운 내 강산'의 삽입곡 중 하나인 '그리운 금강산'이 있다. 작곡집으로 가곡집 '소라'와 오페레타 '운림지' 등이 있고
서울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 명예단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방송대상과 2001년 서울특별시 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이제야 자유만민 옷깃 여미며
수수 만년 아름다운 산 못 가본지 그 몇해
비로봉 그 봉우리 짓밟힌 자리
발아래 산해만리 보이지 마라
수수 만년 아름다운 산 못 가본지 그 몇해
가사의 와전된 내용 및 개사 내역
가사중 주제런가는 원래 주재(主宰)로 작사를 했는데
원래 "관장하다, 주장하여"라는 뜻의 주재(主宰)>라고 썼다.
한상억은 마지 못한듯 "원래 뜻과 많이 다르지만 문맥상 억지는 아니다"라며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다른 부분도 달라졌다.
이 노래는 61년 여름 서울중앙방송국(현KBS)이 "조국강산을 소재로 가곡사에
작사자의 의도에 맞게 '누구의 주재런가'로 부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참고자료 : 남북경협국민운동본부,가사와,전남중등음악사랑 연구회,네이트 리뷰
Violin
백 남 옥
Mischa Maisky
Angela Gheorghiu
Panpipe
Placido Domingo
'Music(가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ta Juanita / Jim Reeves (0) | 2009.11.24 |
---|---|
고향의 노래 / 테너 엄정행 (0) | 2009.11.19 |
보리밭 / 대우합창단 (0) | 2009.06.01 |
How Great Thou Art / Gospel (0) | 2009.03.31 |
내 맘의 강물 / 김남두 (0) | 2008.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