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희빈, 아들을 낳다 장희빈, 아들을 낳다 〇 소의 장씨가 왕자를 낳았다. - 숙종(肅宗)은 1688년 10월에 왕이 된지 14년 만에 첫 아들을 보았지만 오랫동안 기다려 온 왕실의 경사를 기뻐할 수 없는 한 사람이 있었으니 숙종(肅宗)의 비(妃) 인현왕후였다. “소의 장씨가 왕자를 낳았다” <숙종실록 1688년 10.. K-his(한국사) 2015.07.16
치마폭에 가려진 카리스마 숙종(肅宗), 왕이 되다 치마폭에 가려진 카리스마 숙종(肅宗), 왕이 되다 〇 숙종(肅宗)의 이미지 - 조선 19대 임금 숙종(肅宗)의 무덤 명릉, 곁에는 첫 번째 계비(繼妃) 인현왕후와 좀 떨어진 곳에 두 번째 계비인 인원왕후가 묻혀있고, 좀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정비(正妃)인 인경왕후와 장희빈의 묘도 있는데, .. K-his(한국사) 2015.07.15
하멜 표류기 하멜 표류기 〇 하멜, 조선에 표류(漂流)하다 - 하멜 표류기의 기록 “1653년 여름, 나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상선(商船)인 스페르베르호를 타고 순조로운 항해를 하고 있었습니다. - 일본의 나가사키로 향하던 중 우리 배는 강한 폭풍우를 만났고, 나와 내 동료들은 생사를 건 사투를 .. K-his(한국사) 2015.07.15
나선정벌(羅禪征伐) 나선정벌(羅禪征伐) 〇 1658년 나선정벌(羅禪征伐) - 1658년 6월 10일(음력) 흑룡강성에서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는데, 조선과 청나라 연합군이 러시아의 남하(南下)를 막기 위한 전투 나선정벌 - 당시 러시아에겐 아시아 진출을 결정짓는 중요한 전투였던 나선정벌, 하지만 조선군의 조총.. K-his(한국사) 2015.07.14
<조선왕조실록>으로 본 소현세자의 죽음 <조선왕조실록>으로 본 소현세자의 죽음 〇 비운의 왕세자 소현, 의문의 죽음을 맞은 날 - 소현세자에게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우는 것은 병자호란 직후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갔다가 조선에 귀국한 뒤였다 “세자가 돌아오고, 청나라 사신도 함께 칙서를 가지고 서울에 오다” <.. K-his(한국사) 2015.07.04
치욕의 삼전도 굴욕 치욕의 삼전도 굴욕 〇 고립 48일 째인 1637년 1월 30일 - 치욕의 삼전도 굴욕 “결박(結縛)은 면하게 해주겠다. 관(棺)은 끌고 나오지 않아도 좋다. 단 죄인은 정문(남문)으로 나올 수 없다” 하급관리의 의복인 남색 옷을 입고 서문을 나서는 죄인은 조선 16대 임금 인조(仁祖) - 인조(仁祖.. K-his(한국사) 2015.06.20
병자호란(丙子胡亂) 병자호란(丙子胡亂) 〇 청군(靑軍), 한양을 점령하다. - 1636년 12월 9일 청나라 군사가 다시 압록강을 건넜다. 정묘호란 이후 9년 만으로 12만 8천여 청(淸)군은 불과 닷 세만에 도성을 점령하고, 인조(仁祖)는 가까스로 수구문을 통해 한양을 탈출하여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지만, 순식간에.. K-his(한국사) 2015.06.06
정묘호란(丁卯胡亂) 정묘호란(丁卯胡亂) 〇 후금(後金), 압록강을 건너다 - 1627년 1월 얼어붙은 압록강에 나타난 기마병(騎馬兵) 36,000명, 압록강을 건너 온 거침없는 후금군의 전력(戰力)에 의주성이 하루 만에 함락되는데, 임진왜란 후(後) 29년 만의 전쟁이다. - 정묘호란 발발 소식을 들은 조정(朝廷)의 반.. K-his(한국사) 2015.05.29
세종대왕(世宗大王)과 한글 세종대왕과 한글 〇 개요 - 뮤지컬 <뿌리 깊은 나무>는 세종대왕을 돕던 집현전 학자들의 의문의 죽음을 풀어가는 미스터리, 실제로는 그런 일은 없었고 조선 세종시대에 훈민정음을 만드는 세력과 이에 반(反)하는 세력과의 갈등을 다룬 드라마로 기록에도 세종(世宗)은 온화한 .. K-his(한국사) 2015.05.15
이괄의 난(亂) 이괄의 난(亂) 〇 이괄, 반란(反亂)의 칼을 들다 - 이괄은 인조(仁祖) 1년 5월에 부원수겸 평안병사로 임명되어 북풍이 몰아치는 변방으로 떠나야만 했는데, 한 때 동지였던 반정세력들이 반정 당시 임시대장까지 지냈던 이괄을 1등 공신이 아닌 2등 공신으로 책봉했다 것 - 이괄은 분노.. K-his(한국사) 201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