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비 수절 60년, 세도정치에 칼을 겨누다. 조대비 수절 60년, 세도정치에 칼을 겨누다. 〇 개요(槪要) - 안동김씨의 세도가 하늘을 찌르던 순조(純祖)대, 이들의 독주에 제동을 건 이가 있었으니 바로 순조(純祖)의 아들, 효명세자! 하지만 효명세자는 날개를 채 펴기도 전에 22세의 나이로 단명하고 만다. - 그로부터 약 30년 후, .. K-his(한국사) 2015.08.18
류성룡, 이순신 장군을 천거(薦擧)하던 날 류성룡, 이순신 장군을 천거(薦擧)하던 날 〇 개요(槪要) - 임진왜란 기간 동안 무너져가는 조선을 지켜낸 류성룡! 전란으로 흔들리는 가운데서도 효과적인 개혁정책을 실시해 부족한 병력과 군량을 확보하고, 삶의 터전을 빼앗긴 백성들의 삶까지도 보살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 K-his(한국사) 2015.08.12
암행어사(暗行御史), 박문수 암행어사, 박문수 〇 백성들의 슈퍼 히어로, 어사(御使) 박문수 - 조선시대 암행어사의 대명사! 박문수, 당시 백성들이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실 만큼 열광했던 존재,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는 암행어사라는 기록이 없다(?) - 영조(英祖)의 개혁정치 뒤에는 박문수가 있었다(?) 암.. K-his(한국사) 2015.08.11
순조(純祖), 김조순의 딸을 왕비(王妃)로 맞던 날 순조(純祖), 김조순의 딸을 왕비(王妃)로 맞던 날 〇 19세기 퇴행의 역사로 가는 비운의 그 날 - 1802년 10월 16일 창덕궁에서 성대한 잔치가 열렸다. 조선 제 23대 왕 순조(純祖)의 가례로 13살의 순조(純祖)가 맞이하는 신부는 선왕 정조(正祖)의 신임을 받던 안동김씨 김조순의 딸, 순원왕.. K-his(한국사) 2015.08.09
개혁군주 정조(正祖)의 신해통공 개혁군주 정조(正祖)의 신해통공 〇 정조(正祖), 소상인들의 눈물을 닦아주다 - 상공업이 눈부시게 발전하던 18세기 조선, 하지만 그 뒤엔 소상인들의 피눈물이 있었다?! 판매 독점권을 등에 업은 시전(市廛) 상인들이 소상인들의 물건을 헐값에 빼앗는가 하면 관아에 끌고 갔던 것! 소.. K-his(한국사) 2015.07.27
징비록(懲毖錄) 징비록(懲毖錄) 〇 동아시아 베스트셀러, 징비록 - 임진왜란! 그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조선을 구해낸 서애(西厓) 류성룡은 지난 일을 징계하며 후환(後患)을 조심한다는 의미에서 <징비록>을 남겼는데 다시는 전쟁의 참화를 겪지 말자는 뜻에서 쓴 전란(戰亂)의 기록이 어떻게 일.. Docu'(기록물) 2015.07.25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思悼世子)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思悼世子) 〇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 - 아바마마, 소자의 죽을죄가 무엇입니까? 조선 역사상 전대미문의 비극이자 아비가 자식을 뒤주에 가둬 죽인 엽기적인 사건, 영조(英祖)의 아들 사도세자의 죽음! 광증(狂症)에 사로잡힌 비운의 왕세자 혹은 당쟁에 휘말린 .. K-his(한국사) 2015.07.24
영조(英祖), 반란의 칼 끝 탕평(蕩平)으로 맞서다 영조(英祖), 반란의 칼 끝 탕평으로 맞서다 〇 영조(英祖)를 위협한 괘서사건 - 1728년 무신년, 영조(英祖)의 정통성을 부정하며 전국에서 반란이 일어난다. 반란의 주모자인 이인좌의 이름을 따서 <이인좌의 난> 으로 불렸지만 무신년에 일어난 반란이란 의미로 <무신란>이라 .. K-his(한국사) 2015.07.22
김육, 민생을 위하여 대동법을 지키다 김육, 민생을 위하여 대동법을 지키다 〇 백성이 세운 대동법 시행 기념비 - 평택에 위치한 감동적인 사연이 있는 대동법 시행 기념비 <조선국영의정김공육대동균역만세불망비(朝鮮國領議政金公堉大同均役萬世不忘碑)>, 김육 대감이 7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주민들은 십시.. K-his(한국사) 2015.07.21
장희빈의 아들 경종(景宗), 왕이 되다 장희빈의 아들 경종(景宗), 왕이 되다 〇 1720년, 경종(景宗) 즉위 - 1720년 숙종(肅宗)이 죽고 경종(景宗)이 왕위에 오른다. 14세의 나이에 친어머니 장희빈의 죽음을 지켜봐야 했던 경종(景宗), 인현왕후를 저주했다는 이유로 죄인이 되어 사약을 받아야만 했던 어머니와 어머니를 살려달.. K-his(한국사) 2015.07.20